IP 기초이론, 지금부터 같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시간입니다.
1. Network 정의
▷ Network는 일반적으로 정보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전송 단말기나 전송 장비들이 전송 선로를 통하여
연결된 구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 Network은 사용자, 즉 가입자의 입장과 회선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입자 Network은 단순하며, 사업자 Network은 복잡한 편이다.
▷ 가입자와 사업자는 SLA(Service Level Agreement)라는 계약 문서를 통해 초기 관계 형성이 되며.
가입자는 사업자에게 서비스의 품질과 연속성을 요구할 수 있고
사업자는 가입자에게 계약 시 보장한 서비스의 수준을 유지 공급할 의무가 있다.
2. Toplogy : 정보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단말기와 전송 장비들이 전송 선로를 통하여 연결된 모양
ㅇ 단말기와 전송장비들이 Cable을 통해서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느냐에 따라 Network 모양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ㅇ BUS Topology : 초기에는 동축 Cable을 이용한 연결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ㅇ Star Topology : 가장 많이 사용되는 Topology이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중앙에 있는 장비 고장 발생 시 전체 Network 고장으로 이어진다는 점이 있습니다.
ㅇ Ring Topology : Logical Topology라고도 한다. 실제 Physical로는 Star Toplogy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장비 내부에서 Ring을 구성하기 때문에 Ring Topology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ㅇTiered Star Topology : 현재 환경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Topology 형태로, 각 측의 사용자는 층별로 배치된 Switch에 연결되고, 각 층별 Switch는 전산 Center에 위치한 대형 Switch에 연결되는 형태입니다.
ㅇ Partial Mesh와 Full Mesh는 LAN 환경에서는 Core Switch 사이에 활용되며, WAN 환경에서는
Frame-Relay에서 주로 사용하며, 대부분 금융권(은행, 보험 등)과 ISP(통신사업자)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ㅇ Full Mesh는 Link 고장이나 특정 구간의 Router 고장 발생 시에도 우회 경로와 장비가 확보되기 때문에
중요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초기 비용이 높고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지출됩니다.
3. 용어 정의
ㅇ 전송 단말기 : 정보를 생성, 저장, 검색, 가공 작업을 하면서 동시에 Network에 Access 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ex) PC, PDA, CellularPhone, PMP, Digital Camera 등
ㅇ 전송 매체 :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Cable을 뜻 합니다.
ex) 동축케이블, TP, 광케이블, 무선(RF), 인공위성 등
ㅇ 전송 Protocol : 표준화된 통신 규약이며, Protocol들은 각 전송 장비마다 주소를 부여하고 부여된 주소를
기반으로 사용자 Data를 전송합니다.
ㅇ 전송장비 : PAN, LAN, MAN, WAN 구간에서 사용되는 장비이며, 신호의 증폭과 사용자 주소 기반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ㅇ Protocol : 통신 단말기 즉 장비 사이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이며, 형식(Format)이 있고,
각 Filed 마다 의미(Semantic)가 있습니다.
목적지 주소 |
출발지 주소 |
Type/Length |
Data |
FCS |
ㅇ Protocol의 종류에는 OSI 7 Layer, TCP/IP, SPX/IPX, NetBios, Apple Talk, SNA, DECNet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중 대표적인 Protocol은 국제표준협회에서 만든 OSI 7 Layer라고 하는 Reference Model(참조모델)과
미 국방부에 기원을 두고 있는 TCP/IP가 있습니다.
☞ Computing Paradigm이 변화되는 시점에서 많은 시스템과 통신 Protocol들이 등장을 하였습니다.
대부분 서로 다른 Architecture를 사용하고 서로 다른 Protocol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상호 간 Data 전송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 원인은 산업계 중심의 시장 형성 때문이었습니다.
예를 들면 많이 판매한 제품에서 사용하는 Protocol과 그렇지 못한 제품에서 사용하는 Protocol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결국은 Data 전송이 어렵게 되고 후발 업체의 시장 진입은 점차 어려워집니다.
또한 Protocol과 Protocol 사이의 차이점을 보완하기 위해 Gateway도 등장하게 되면서 더욱 Networking이
복잡하고 어려워지는 환경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제표준협회에서는 지금까지 등장한 통신 Protocol을 정리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 사이 Data 전송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표준 Model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7개의 층으로 구분하기 위해 Layer를 기능별로 독립화 시키고 Layer와 Layer 사이에 상호 연결성과 호환성을
확보하여 Architecture와 OS에 상관없이 원활한 Data 전송이 가능하도록 표준안을 마련하였습니다.
이상 첫 번째 시간을 마치고 두 번째 시간에 더욱더 알찬 내용을 가지고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
'네트워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기초이론 (6편) (0) | 2019.08.08 |
---|---|
IP 기초이론 (5편) (0) | 2019.08.08 |
IP 기초이론 (4편) (0) | 2019.08.07 |
IP 기초이론 (3편) (0) | 2019.08.07 |
IP 기초이론 (2편) (0) | 2019.08.06 |